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정월대보름 음식 오곡밥 유래

반응형

정월대보름 음식 오곡밥 유래



매해 음력 1월15일이 정원대보름입니다

며칠 안남았는데요

오늘은 간단하게 정월대보름 음식 그리고 정월대보름 유래 정보를

한번 나눠볼까합니다

우선 유래입니다 정월대보름 유래 같은 경우는

신라시대로 올라가야해요

신라시대 소지왕이 까마귀에게 역모를 알게되고

이후에 까마귀한테 고맙다는 의미로

매해 음력 1월 15일 귀한 재료를 넣은 약식으로 제사를 지냈다고합니다


당시에는 잣 대추 같은 재료들로 했었고

서민들은 귀한 재료를 구하기 어려워 오곡밥으로 대체했다고해요


그래서 정월대보름 오곡밥 먹는다는 말이 나온거같습니다

한 해의 액운을 막으면서 건강,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에요


오곡밥은 성이 다른 세 명의 사람들이 나눠 먹어야한다고합니다

화합하고 지낸다는 뜻이 담겨있다고하네요


정월대보름 오곡밥에 들어가는 음식 재료들은

찹쌀, 차조, 찰수수, 붉은 팥, 검은 콩, 찰기장을 넣는다고합니다

조 수수 콩 기장 이정도로 생각하면 되는거 같아요

다양한 색들이 보기좋게 어우러져있고 건강에도 좋다고하죠

찹쌀은 소화도 잘되고 조 기장 같은 경우는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합니다

붉은 팥 검은 콩은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안토시아닌이 들어있기도하고

수수는 항산화 효과에 뛰어나다고해요


그 외에 정월대보름 음식으로는 부럼이 있습니다

부스럼을 막고 건강한 치아를 위하는 의미로 딱딱한 견과류를 먹는거에요

땅콩, 호두 등이 있습니다~


평소에도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고 오곡밥, 부럼 등으로

건강을 유지하면 좋은데요 평소엔 자주 못챙겨먹더라도

이렇게 정월대보름 같은 날을 챙겨서

한 해의 액운도 막고 건강함을 유지해보는게 좋겠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