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뉴스

비행기록장치 미국 무안공항 사고 비행기 블랙박스

반응형

비행기록장치 미국 무안공항 사고 비행기 블랙박스 정부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 규명에 핵심적 역할을 할 블랙박스 비행기록장치(FDR)를 미국으로 보내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파손된 비행기록장치는 국내에서 자료 추출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의 협조를 통해 미국으로 이동해 분석하는 방안을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사고 여객기의 운항 기록을 담은 비행기록장치는 연결 장치인 커넥터가 분실된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전원 공급과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진 이 커넥터가 없으면 자료를 추출할 수 없고, 무리해서 개봉할 경우 자료가 손실될 수 있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입니다.

이에 국토부는 "분실된 커넥터를 대체할 수 있는지와 다른 걸 찾더라도 이를 완벽하게 붙일 수 있는지에 대해 사고조사위원회에서 기술적 검토가 있었다"며 "하지만 여의치 않아 미국으로 가는 것이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 사고조사위원회와 미국 교통안전위원회 간 긴밀한 협업 체계가 있고 미국, 프랑스 등도 사고 당국과 협조한 이력이 있다"며 "미국이 단독으로 분석하는 게 아니라 우리 전문가가 같이 가서 공동 작업을 하기 때문에 우려는 안 해도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비행기록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이송 일정에 대해선 "사고조사위원회 참석자 등이 정해지는 대로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사고 여객기의 음성기록장치에 대해서는 "추출한 자료를 음성파일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음성파일 전환은 오늘부터 이틀 정도 걸릴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여객기 참사 사고의 원인을 밝혀줄 블랙박스 가운데 하나인 비행기록장치, FDR은 정보 추출에 실패해 결국, 미국으로 가게 됐습니다.

음성기록장치는 추출한 정보를 음성 파일로 복원하는 작업에 들어갔는데 사고조사위원회는 2일~3일쯤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