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연예인

뉴진스 디스패치 민희진 변호사 새 이름 공모

반응형

뉴진스 디스패치 민희진 변호사 새 이름 공모 ‘뉴진스’가 어도어를 상대로 법적 대응에 들어갔습니다. 민희진의 법률 대리를 맡고 있는 ‘세종’을 선임했습니다.

 

뉴진스는 23일 인스타그램 '진즈포프리'에 "어도어가 저희를 상대로 '전속계약 유효확인의 소'를 제기했다“면서 "저희 5명은 하이브와 어도어에 돌아갈 생각이 없다"며 소송전을 예고했습니다.

 

뉴진스는 법정 대리인으로 법무법인 '세종'을 선택했고 멤버들은 “하이브와 어도어의 문제를 이미 파악하고 있는 곳"이라며 선임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민희진 역시 ‘세종’을 통해 법정 싸움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뉴진스와 민희진, 세종은 오랫동안 소통을 이어갔습니다. 하이브(& 어도어) 관련 주요 이슈를 공동으로 대응했습니다. 일례로, 민희진 대표 복귀 요청 및 하니 국감 출석 등을 함께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디스패치'는 9월 24일과 10월 8일 회동을 목격했습니다. 9월 24일은, 민희진 대표 복귀 요청 시한 하루 전. 멤버들의 모친은 이날, 민희진 연희동 사무실에서 '세종' 변호사를 만났습니다. (뉴진스는 9월 11일, '라방'에서 "민희진을 14일 이내에 대표로 복귀시켜 달라"고 요구했고 24일은 요청 마감시한 D-1일이었습니다.)

 

하니는 10월 8일, 세종 변호사를 만나 국감 출석을 논의했습니다. 하니와 민희진, 변호사는 4시간 넘게 회의를 했고, 하니는 다음 날 "국정 감사에 멤버들을 위해 혼자 나갈 거다"고 밝혔습니다.

 

한 연예계 관계자는 이날 '디스패치'에 "결국 '민희진이 없는 곳에서 활동할 수 없다'는 이야기"라면서 "민희진이 투자자를 찾는 순간, 뉴진스는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예견했습니다.

 

이는, 탬퍼링 논란으로 불똥이 튈 수 있습니다. 가수를 빼내기 위한 사전 모의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9월은 엄연히 가수와 회사 간에 전속 계약서가 존재하던 시기입니다.

 

한 법조 관계자는 "이번 사태의 주요 변곡점에 민희진, 뉴진스, 부모, 변호사 등의 만남이 있었다"면서 "라방, 국감, 퇴사, 해지 (발표) 등의 과정이 순수하게 보이지 않는 이유"라고 지적했습니다.

 

뉴진스는 현재 갈등의 원인을 하이브와 어도어 탓으로 돌리고 있다. "활동 내내 크고 작은 방해가 존재했다. 연예 경력을 중단시키겠다는 말을 '장기간의 휴가'라는 단어로 포장하기도 했다"고 성토했습니다.

 

뉴진스는 이어 "전속계약 해지를 발표한 이후에도 최대한 남은 일정과 계약을 마무리하길 원했다"면서 "올바르지 못한 방법으로 피해를 끼치는 어도어와 하이브를 보며 침묵하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어도어는 뉴진스와의 전속계약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으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전속계약유효확인’의 소를 제기한 상태입니다. 어도어는 “멤버들이 법적 판단을 받기 전에 활동명을 공모하는 등 독자적인 연예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계약 위반 소지가 있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뉴진스는 멤버들이 SNS를 통해 새로운 활동명, 이름 공모에 나서며, 독자적인 활동을 예고했습니다. 뉴진스 멤버들은, 자체적으로 새롭게 개설한 SNS에 "일정 기간 사용할 새로운 활동명을 공모한다"는 글을 올리면서, 누리꾼들의 댓글 참여를 독려했고요. 별도의 입장문에선 "하이브와 어도어에 절대로 돌아갈 생각이 없다"고도 밝혔습니다.

뉴진스의 새 이름 공모 소식에, 어도어는 "중대한 계약 위반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728x90
반응형